티스토리 뷰
갑작스럽게 귀에서 '삐―' 하는 고주파 소리가 들리면서 한쪽 귀가 먹먹해지고 청력이 떨어졌다면 절대 그냥 넘기면 안 됩니다. 이럴 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이 바로 돌발성 난청입니다. 이비인후과 응급질환 중 하나로, 48시간 내 치료를 시작해야 회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지금 이 글을 통해 돌발성 난청 초기증상, 원인, 대처법까지 꼼꼼히 확인해보세요.
1. 돌발성 난청이란?
돌발성 난청은 사전 전조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청력 손실로, 72시간 이내에 30dB 이상 청력이 세 개 이상의 주파수에서 떨어지는 급성 상태를 말합니다. 주로 한쪽 귀에 생기며, 드물게 양측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.
즉각적인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손상된 청신경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이 어렵기 때문입니다. 골든타임은 48시간이며, 이 시점을 놓치면 청력 회복률은 급격히 떨어집니다.
2. 돌발성 난청의 초기 증상
돌발성 난청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며, 아래 중 두 가지 이상이 겹친다면 즉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- 귀 먹먹함: 물속에 들어간 듯한 압박감이 지속
- 삐소리, 이명: 고주파 ‘삐~’ 혹은 전자음이 지속
- 청력 좌우 불균형: 한쪽 소리만 멀게 들림
- 귓속 압력감: 귀가 막히는 느낌 + 두통 동반 가능
- 현훈 또는 어지럼: 자리 이동 시 바닥이 출렁이는 느낌
이러한 증상은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달팽이관 기능 이상일 수 있습니다.
3. 돌발성 난청의 주요 원인
정확한 병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,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.
원인 | 설명 |
바이러스 감염 | 대상포진, 독감 등이 청신경을 침범 |
혈류 장애 | 고지혈증, 당뇨 등으로 미세혈관이 막힘 |
자가면역 질환 | 면역세포가 청신경을 공격해 염증 유발 |
외상 및 압력 변화 | 스쿠버다이빙, 폭발음 등으로 내이 손상 |
약물 독성 | 항암제,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 등 |
4. 돌발성 난청 대처법 (골든타임 48시간)
치료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. 아래 5단계로 즉시 대처하세요.
- 이비인후과 즉시 방문: 청력검사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투여
- 고압산소치료 병행: 산소 분압 증가 → 허혈 세포 회복 도움
- 혈류 개선제 및 항바이러스제 투여: 혈류 촉진과 염증 억제
- 소음 및 카페인 제한: 카페인 200mg 이하, 이어폰은 최대 1시간
- 생활 스트레스 관리: 충분한 수면, 명상, 심리적 안정을 유지
5. Q&A
Q1. 돌발성 난청이 오면 무조건 청력을 잃게 되나요?
아닙니다. 48시간 내 치료를 시작하면 약 60% 이상은 부분 또는 완전 회복됩니다.
Q2. 귀에서 삐소리만 나고 청력 저하는 없는데 괜찮은가요?
고주파 이명은 돌발성 난청의 초기 징후일 수 있으므로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.
Q3. 청력은 회복됐는데 계속 소리가 울려요.
치료 후에도 잔존 이명은 남을 수 있으며, 인지행동치료나 백색소음기로 관리 가능합니다.
Q4. 스테로이드 치료가 위험하지 않나요?
단기간 고용량으로 사용되며,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행되므로 안전합니다.
Q5.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?
청력 보호, 감기·바이러스 예방, 이어폰 자제, 혈관 건강 관리가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.
6. 결론
돌발성 난청은 단순한 귀 먹먹함이나 일시적인 이명으로 시작해도 청신경이 손상되면 회복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는 응급질환입니다.
귀에서 ‘삐’ 소리가 나거나, 갑자기 청력이 떨어졌다면 지체하지 말고 바로 병원을 찾으세요. 조기 스테로이드 치료, 고압산소요법, 혈류 개선 치료를 적절히 병행하면 청력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.